1. L4 vs L7 로드 밸런서
항목 | L4 로드 밸런서 | L7 로드 밸런서 |
동작 계층 | 전송 계층 | 애플리케이션 계층 |
트래픽 처리 방식 | 패킷의 IP, Port 기반으로 라우팅 | URL, Host, 쿠키, HTTP 헤더, 쿼리스트링 기반 라우팅 |
세션 유지 방식 | 클라이언트 IP, Port 기반 | 쿠키, 세션 ID, HTTP 헤더 기반 |
Health Check | TCP/UDP 상태 체크 | HTTP 응답 코드, 응답 내용 기반 상태 체크 |
로드 밸런싱 알고리즘 | Round Robin, Least Connections 등 | Path 기반, Host 기반, 쿠키 기반 라우팅 |
성능 | 속도가 빠름 | HTTP 요청 분석으로 L4보다 느린 속도 |
2. 과거 (On-premise)
- L7 로드 밸런서는 SSL/TLS 인증서의 암·복호화 과정이 추가됨에 따라 L4 로드 밸런서보다 상대적으로 느려 선호되지 않음
- 하드웨어 성능 대비 높은 비용
3. 현재 (Cloud)
- Cloud에서 WAF와 L7 로드 밸런서 기능이 통합됨에 따라 SSL/TLS 인증서 암·복호화 과정이 줄어들어 성능 저하의 영향이 없음 (AWS ALB, Azure Application Gateway)
- 과거: 방화벽 > WAF(암·복호화) > L7(암·복호화) > 서버
- 현재: 방화벽 > WAF·L7(암·복호화) > 서버
- 컨테이너 및 서버리스 같은 L7 기반의 형태가 등장하여 그에 맞는 L7 로드 밸런서 사용 증가
4. 방향성
4.1. L4 로드 밸런서
- 초고속 트래픽 처리 (수백만 TPS, 저지연 환경)
- 온라인 게임 서버 (MMORPG, FPS 등)
-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(Netflix, Twich 등)
- IoT 장치 연결 (스마트홈, 자동차 등)
- VoIP 서비스 (인터넷 전화, Zoom, Skype 등)
- CDN(Content Delivery Network) 백엔드
- 금융 시스템 (저지연, 고가용성 필수)
- 주식 거래 시스템 (증권사, 트레이딩 서버)
- 결제 시스템 (VISA, Mastercard 등)
- 은행의 내부 시스템 (API Gateway, 계정 인증, 데이터베이스 접속 등)
- 블록체인 노드 통신
4.2. L7 로드 밸런서
- 웹 서비스, API 트래픽 처리
- 웹 사이트 트래픽 분산 (전자상거래, 블로그, SaaS 서비스)
- REST API, GraphQL API 서버 트래픽 관리
- OAuth 인증 및 JWT 기반 인증이 필요한 API 서비스
- 컨테이너, 서버리스 (ECS, EKS, Lambda)
- Kubernetes 기반 애플리케이션 (AWS EKS, Azure AKS 등)
- Amazon ECS 컨테이너 서비스
- AWS Lambda 기반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
- 글로벌 웹 서비스, 다중 리전 트래픽 관리
- 멀티 리전(다중 데이터센터)을 운영하는 글로벌 웹 서비스 (AWS Global Accelerator, Azure Front Door)
- 지역별 데이터센터로 사용자를 라우팅
* CDN(Content Delivery Network)
- 사용자에게 더 빠르게 컨텐츠(이미지, 동영상, CSS, JS 파일 등)를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 엣지 서버를 활용하는 네트워크
** CDN 백엔드 (CDN Origin, 원본 서버)
- 원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
- CDN이 캐싱되지 않은 컨텐츠를 요청한 때 백엔드 서버로 요청을 보냄
*** CDN 엣지 서버 (CDN Edge, 캐시 서버)
- 백엔드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캐싱 후 사용자에게 제공
- 모든 트래픽이 원본 서버로 몰리는 과부하 방지
'정보보안 > 끄적이는 공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왜 다단계 인증(MFA, Multi-Factor Authentication)을 사용해야 하는가? (0) | 2025.04.21 |
---|---|
멀티클라우드(Multi-Cloud)에 대하여 (0) | 2025.02.19 |
우리는 AWS와 Azure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? (0) | 2025.02.15 |
AWS와 Azure에 대하여 (2) | 2025.02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