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멀티클라우드(Multi-Cloud)의 개념
- 두 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(AWS, Azure, GCP 등)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전략
2. 단일 클라우드 vs 멀티클라우드
구분 | 단일 클라우드 | 멀티클라우드 |
구성 방식 | 하나의 클라우드 공급자만 사용 (AWS만 사용) | 여러 클라우드 공급자 조합 (AWS + Azure 등) |
장점 | 단순한 관리, 비용 절감 가능 | 장애 대응, 유연성 증가, 공급자 종속 방지 |
단점 | 특정 공급자 종속(Vendor Lock-in) 위험 | 관리 복잡성 증가, 통합 비용 발생 |
3. 유형
3.1. 이중 클라우드(Dual-Cloud)
- 두 개의 퍼블릭 클라우드(AWS + Azure, GCP + AWS 등)를 사용
- AWS의 AI서비스(SageMaker)와 Azure의 보안 서비스(Azure Sentinel)를 동시에 사용
3.2. 하이브리드 클라우드(Hybrid Cloud) + 멀티클라우드
- 온프레미스(자체 데이터센터) + 퍼블릭 클라우드(AWS, Azure 등) + 프라이빗 클라우드(OpenStack 등) 조합
-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에서 핵심 데이터를 관리하면서 클라우드에서 분석 및 백업 수행
3.3. 분산 클라우드(Distributed Cloud)
- 특정 워크로드를 여러 클라우드에 분산하여 실행
- AWS에서 데이터 저장, GCP에서 AI 분석, Azure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
3.4. DR(Disaster Recovery) 및 백업 목적
- 한 클라우드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클라우드에서 자동 복구
- AWS에서 운영하고 장애 발생 시 Azure에서 복구
4. 장점
4.1. 벤더 종속(Vendor Lock-in) 방지
- 특정 클라우드 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유연한 선택 가능
4.2. 고가용성 및 장애 대응
- 한 클라우드 장애 발생 시 다른 클라우드로 전환 가능(AWS 장애 시 Azure 사용)
4.3. 비용 최적화
- 각 클라우드의 가장 저렴한 서비스를 선택해 비용 절감
4.4. 최적의 성능 활용
- 클라우드별 강점을 살려 최적의 조합으로 성능 극대화
- AI/ML > GCP, 글로벌 확장 > AWS, 엔터프라이즈 보안 > Azure
4.5.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대응
- 특정 지역/국가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주권(Data Sovereignty) 준수 가능
- EU > Azure, US > AWS
5. 단점
5.1. 운영 및 관리 복잡성 증가
- 여러 클라우드를 동시에 관리하려면 DevOps 및 SRE(사이트 안정성 엔지니어링) 역량 필요
5.2. 비용 관리 어려움
- 클라우드 간 데이터 이동 비용(egress cost) 증가 가능
5.3. 보안 통합의 어려움
- 각 클라우드마다 보안 정책과 IAM(Identify & Access Management)이 달라 통합이 어려움
5.4. 네트워크 지연(Latency) 가능성
- 멀티클라우드 간 데이터 이동 시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
'정보보안 > 끄적이는 공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왜 다단계 인증(MFA, Multi-Factor Authentication)을 사용해야 하는가? (0) | 2025.04.21 |
---|---|
우리는 L4와 L7 로드 밸런서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? (0) | 2025.04.01 |
우리는 AWS와 Azure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? (0) | 2025.02.15 |
AWS와 Azure에 대하여 (2) | 2025.02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