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보안/News

SKT 유심 정보 유출에 사용된 BPFDoor란?

itnyaong 2025. 4. 30. 13:25

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137027

 

SKT 해킹에 쓰인 ‘BPF도어’ 악성코드는 무엇?

지난 19일 23시 경, SK텔레콤의 가입자 인증 서버(HSS)가 해킹당하는 초유의 침해 사고가 발생했다. 이번 사고로 유심(USIM) 고유 식별번호 등 가입자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. 피해

www.boannews.com

1. BPFDoor

1.1. 개념

  • BPF와 Backdoor의 합성어로 리눅스 기반 백도어 (2021년에 공개된 오픈소스 백도어의 한 종류)

1.2. 특징

  • 연결된 컨트롤러는 리버스 쉘(Reverse shell)을 열어 시스템을 장악 가능
  • BPF(Berkeley Packet Filter)를 사용하여 커널 수준에서 작동하며 보안솔루션의 탐지를 우회

1.3. 공격 대상

 

BPFDoors Hidden Controller Used Against Asia, Middle East Targets

A controller linked to BPF backdoor can open a reverse shell, enabling deeper infiltration into compromised networks. Recent attacks have been observed targeting the telecommunications, finance, and retail sectors across South Korea, Hong Kong, Myanmar, Ma

www.trendmicro.com

출처: Trendmicro

1.4. 우회 방안

  • 리눅스 서버가 표적인 만큼 아래와 같은 다양한 경로를 사용하여 악성파일을 은닉
    • /tmp/zabbix_agent.log
    • /bin/vmtoolsdsrv
    • /etc/sysconfig/rhn/rhnsd.conf

* 백도어(Backdoor)

  • 정상적인 보호, 인증 절차를 우회하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

** 리버스 쉘(Reverse shell)

  • 감염된 시스템에서 먼저 공격자로 연결을 시도하여 해당 연결을 통해 공격자가 쉘(Shell)을 사용하여 공격하는 방식